[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모음 #8]

안녕하세요! 이제 막 경제 공부를 시작한 초보자분들을 위해 필요한 경제 용어를 하루에 10단어씩 함께 공부해 봐요.

1. 한계효용 (Marginal Utility)

설명: 한계효용은 추가로 소비하는 한 단위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제공하는 추가적인 만족감을 의미합니다.

 

예시: 첫 번째 사과를 먹었을 때 얻는 만족감이 가장 크고, 두 번째, 세 번째 사과를 먹을수록 만족감은 줄어드는 현상을 한계효용이라고 합니다.

2. 소비자 잉여 (Consumer Surplus)

설명: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금액의 차이를 의미합니다.

예시: 한 소비자가 1,000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800원만 지불하고 물건을 샀다면, 소비자 잉여는 200원입니다.

3. 생산자 잉여 (Producer Surplus)

설명: 생산자 잉여는 생산자가 상품을 판매하여 얻는 수익과 생산비용의 차이를 의미합니다.

예시: 한 생산자가 500원에 생산한 상품을 800원에 판매했다면, 생산자 잉여는 300원입니다.

4. 거래비용 (Transaction Cost)

설명: 거래비용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할 때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합니다.

예시: 인터넷에서 물건을 살 때 드는 배송비와 결제 수수료가 거래비용에 해당합니다.

5. 정보 비대칭 (Information Asymmetry)

설명: 정보 비대칭은 거래 당사자 간에 정보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

예시: 중고차를 구매할 때, 판매자는 차의 상태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구매자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정보 비대칭입니다.

6. 주인-대리인 문제 (Principal-Agent Problem)

설명: 주인-대리인 문제는 대리인이 주인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여 행동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.

예시: 회사의 경영자가 주주의 이익보다 자신의 보수를 높이기 위해 행동하는 경우가 주인-대리인 문제입니다.

7. 도덕적 해이 (Moral Hazard)

설명: 도덕적 해이는 위험 부담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할 수 있을 때 발생하는 비윤리적인 행동을 의미합니다.

예시: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보험금 지급을 기대하며 사고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는 경우가 도덕적 해이입니다.

8. 시장 실패 (Market Failure)

설명: 시장 실패는 자유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.

예시: 공공재인 공원의 관리가 부실해지는 상황이나,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시장 실패입니다.

9. 정부 실패 (Government Failure)

설명: 정부 실패는 정부의 개입이 오히려 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문제를 악화시키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

예시: 정부의 규제가 지나쳐서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경우가 정부 실패입니다.

10. 경제 성장 (Economic Growth)

설명: 경제 성장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예시: 한 나라의 GDP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우, 그 나라는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.

HOME

Leave a Comment